BAND

킹스턴 루디스카

국내 최초의 스카밴드 ‘킹스턴 루디스카(Kingston Rudieska)’‘생소한 스카(Ska) 리듬을 국내에 퍼뜨린 지 9년째, 이제 대중의 어깨를 들썩이게 하는 킹스턴 루디스카표 음악’•스카 (Ska) : 50년대 말 자메이카가 독립할 당시 기쁨과 열정, 그리고 오랜 식민지 한(恨)의 정서가 혼합되어 발생한 음악. 레게의 근간이 되는 음악으로 전 세계 팝 음악계에 영향을 끼친 장르. 관악기가 전체 분위기를 이끌며 ‘약강약강’으로 이어지는 리듬이 특징적이다.# 대중음악계 제 3좌표의 등장강렬한 브라스의 입김이 대중들의 뇌리에 각인되었던 MBC ‘나는 가수다’ YB <커피 한 잔> 무대를 기억하는가? 한국 대중음악계의 산 거장, ‘심수봉’과 세시봉 ‘윤형주’와 세대를 뛰어넘는 콜라보레이션 무대와 산울림 35주년 기념 프로젝트 ‘리본(Reborn) 산울림’에서 새롭게 탄생시킨 <가지마오>까지. 최근 가장 뜨거운 ‘음악의 순간’으로 기억된 풍경들 속에는 공통적으로 ‘킹스턴 루디스카’가 있다. 결성 9년 차…9명의 남자들, 스카의 리듬으로 한국을 들썩이다.2004년 결성 이후 어느덧 9년 차 밴드로 들어선 킹스턴 루디스카. 국내 리스너들에게는 생소한 ‘스카(Ska)’ 장르의 리듬을 국내에 처음으로 퍼트린 9인조 밴드다. 9년 간 단 한 번도 쉬지 않고 매년 계절마다 진행되는 단독공연 등 100회가 넘는 라이브 무대를 선보이며 지산밸리, 펜

김예찬 포레스텟

자연에서 영감을 얻고 연주하는 비브라폰 콰르텟 "포르스텟"솔직하고 자연스러운 음악을 추구하는 포레스텟은 비브라포니스트 김예찬이 이끄는 밴드이다. 자연에서 얻은 영감을 통해 단순하고 반복적이며 동시에 즉흥적이고 자유로운 음악을 연주한다. 단순히 “자연”을 묘사하여 그리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자연스러움”에 집중해서 포레스텟 맴버들 본연의 모습으로서 존재하며 서로 주고받음으로써 완성되는 음악을 만들고자 한다.​포레스텟의 반복적이고 생명력이 넘치는 음악은 때때로 연주자뿐 아니라 청자에게까지 영적인 경험을 선사하기도 한다.출저: 재브컴

고희안 트리오

전통적 피아노 트리오 매력 굳건히 지켜나가는 3인2005년 미국 버클리 음대에서 공부한 뮤지션들로 구성된 섹스텟 프렐류드가 공개한 첫 앨범 <Croissant>는 탄탄한 연주를 중심으로 스윙감 가득한 음악을 담아내며 우리나라 재즈 신에 신선한 반향을 일으켰다. 특히 피아노 트리오와 세 대의 혼이 만들어 내는 밸런스와 감각은 이들이 주도할 한국 재즈의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보는 듯했다. 그러한 기대는 2016년 공개한 여덟 번째 앨범 <Holiday>와 2017년 프로젝트 앨범 <한국남자>까지 이어지고 있다.이 프렐류드를 이끄는 이는 2012년 <Standards> 앨범 이후 지금까지 자신의 트리오로 네 장의 앨범을 공개하며 한국 재즈 신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피아니스트 고희안이다. 이공계 대학생이던 고희안은 군 복무 이후 돌연 음악에 매료되어 프로 뮤지션의 길로 발을 내디뎠고 25세의 나이에 보스턴에 있는 버클리 음대에 입학, 3년 만에 졸업하고 뉴욕대학교에서 조금 더 공부에 매진한다. 그리고 그는 프렐류드를 결성, 미국에서의 활동을 시작했고 2005년 데뷔앨범 <Croissant>를 통해 한국 재즈 신에 신선한 자극을 전하게 된다. 한편 프렐류드의 리더로 활동하던 고희안은 2012년 베이시스트 김인영, 드러머 한웅원과 함께 고희안 트리오의 첫 번째 작품을 공개, 프렐류드의 활동으로 인정받은 자신의 실력을 유감없이 발휘했고 이후

SAZA, 최우준

SAZA 최우준은 재즈와 블루스, 록 등 폭넓은 연주를 보여주는 기타리스트로 2007년 1집 [Saza`s Groove]로 데뷔했다. 이후 베이시스트 정영준과 함께 남성 듀오 어쿠스틱 라운지로 활동하며 2장의 앨범을 발매하였다.재즈와 록을 넘나들고, 특히 블루스에 남다른 장기를 발휘해온 기타리스트 최우준은 특유의 와일드한 헤어스타일 때문에 이름보다는 '사자'라는 별명으로 더 알려져 있다 1집 이후 5년만에 솔로 2집 [Saza's Blues]를 발표하였고, 2집 [Saza's Blues]는 모든 곡에서 자신의 오리지널 작곡과 함께 프로듀싱, 편곡, 연주까지 도맡은 이 작품은 한 마디로 사자 최우준의 알몸 그대로를 보여주는 진짜배기 블루스 록의 굿판이다.대중적인 취향이나 유행에 따라가기보다는 자신만의 세계를 가감 없이 솎아낸 그의 음악은 그러하기에 자꾸만 더 곱씹게 된다.

더보기

ALBUM

김민희 - 모든게 사라진 그 날

더보기

JAZZ BAR

더보기